팝퍼라팝

<ㄱㅇㅅㅎ> 실험 3: 세포배양 및 독성평가(MTT assay)_보충공부 본문

반짝반짝/탐구생활(F&N)

<ㄱㅇㅅㅎ> 실험 3: 세포배양 및 독성평가(MTT assay)_보충공부

nori88 2022. 10. 3. 11:09

- 계대배양

: 원래 배양물에서 일부 세포를 새로운 배양 배지로 옮겨서 만들어진 새로운 세포 또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

: 1) 세포의 수를 늘리는데 사용되거나 2) 세포주들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 수명을 연장하는 데 사용

: 식물 분갈이 하는 느낌..

: 부착형 세포들이 계속 자라다가 바닥면을 꽉 채우게 되어 서로서로 맞닿아 생장할 공간이 없게 되면 접촉으로 인한 "생장 저해(contact inhibition of proliferation)현상"이 일어나게 됨(세포 성질 변할 수 있음) > 공간부족 방지를 위해 계대 배양

  + Cell lifter을 이용해 물리적으로 긁어내는 방법: 세포에 손상을 가할 수 있음 / 세포를 생장시킬 필요가 없을 때 이용<ex. 세포 파괴해서 그 내부의 물질 얻어낼 때>

 

- 세포의 종류: 부착성(adherent) vs 부유성(suspension)

* 많은 세포들이 부착성 세포<ex. 혈관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

: 플라스틱 세포 배양 용기 안쪽 바닥면에 붙어 세포배양액(=액체 배지, 배지)에 들어있는 포도당을 비롯한 영양분을 활용하여 생장

: (세포 표면) 부착 단백질<ex. 인테그린(integrin)> + (세포 외부) 세포 외 기질 단백질(ECM,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ex. fibronectin, collagen>

 >>> 부착해 있게 되는 거

 

- 세포 연접(cell junction)

: 세포들끼리 서로 달라붙는 경우

: 캐드히린(cadherin) 단백질이 그 연결다리 역할 - 활성에 칼슘이온 필요(EDTA 관련)

- 세포배양 시 주의점

: 세포배양 시에는 오염에 가장 주의하며 작업을 진행해야 함

  오염물질에는 미생물, 바이러스, 곰팡이, 균주 등이 있고 세포시험을 진행할 때에는 멸균작업이 완료된 소모품을 사용하고 장갑을 필수로 껴서 소독을 완료한 후 시험을 진행함

 

- MTT assay

: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는 방법 <MTT, MTS, WST-1>

: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효소(mitochondrial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를 보라색을 띄는 비수용성의 formazan 결정으로 환원시키는 미토콘드리아의 능력을 이용한 검사법

 

- 재료 및 기구

* 코니칼튜브(conical tube): 소분계량용기

* DPBS

: 주로 세포배양시 워싱을 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약

: 워싱과정에서 떨어져나가는 세포는 이미 죽은 세포일 확률 높음

* Trypsin

: 단백질 소화효소

: 세포 부착 및 연접(cell junction)에 이용되는 단백질을 끊어주되,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에는 손상을 입히지 않기 위해 사용됨

: 너무 오랜 기간 동안 노출시키는 것은 안 좋음(부착 및 연접 단백질도 세포 생리 및 신호 전달 기전에 관여)

+ 세포 떼어내고 나서 FBS(Alpha-1 antitrypsin 같은 단백질 들어있음)가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주면 트립신 계속적으로 활동하는 것 막음

*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 칼슘 이온을 붙잡아두는 화합물

: integrin(부착단백질), cadherin(연접 단백질)은 활성을 위해 칼슘 이온 필요함 / 근데 EDTA가 칼슘 이온 붙잡고 있으면 단백질 기능이 방해가 되겠지요

* 트리판 블루(trypan blue)

: cell count할 때 주로 사용하는 염색시약

* BCS(bovine calf serum) free medium

* DMSO: 생성된 crystal을 녹여 청자색 용액으로 만들고 이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cell viability 계산

 

 

<참고자료 및 사이트>

https://blog.naver.com/withcoffee67/222359654915

 

[세포 생물학/실험] 트립신(Trypsin)-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의 작용 원리 (+ 플라스틱 세포 배

세포는 배양 방식의 측면에서 두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겠습니다. 하나는 배양 용기에 붙어 자라는 부착성...

blog.naver.com

https://jonlieffmd.com/blog/extra-cellular-matrix-is-critical-to-neuroplasticity

 

Extra Cellular Matrix Is Critical to Neuroplasticity

Thought stimulates multiple neuroplastic mechanisms in wide ranging circuits, but how can it be that extra cellular matrix is critical to neuroplasticity

jonlieffmd.com

https://www.youtube.com/watch?v=ptNTF2oM7xo 

https://www.youtube.com/watch?v=Z9TS9nmp7Uk 

 

Comments